<우리모두 사이트에 올리신 글>


정치는 피 튀기는 권력투쟁인가, 아니면 거대한 통합의 과정인가?

현실주의 정치학자들과 야심가들의 끝없는 훼방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어디서나 정치는 공동체 통합의 거대한 과정이었고, 또 지금 여기에서도 사실은 그러하다.

공정한 룰에 따른 경쟁과 적자생존의 투쟁은 다르다. 적자생존의 무자비한 투쟁은 문명과 질서가 결핍된 상황 속에서 심적으로 퇴행한 사람들의 생활방식이다. 모든 문명권과 문화국은 사회적 분쟁이 발생하는 곳에서 공정한 경쟁의 규칙을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힘의 과도한 집중을 견제하여 경쟁의 누적이 장기적으로 사회적 협력과 통합에 공헌하도록 조정한다. 정치는 정의로운 질서를 형성하려는 노력이며, 올바른 질서란 강자의 자의적 질서가 아니라 공동체의 자발적 협력과 통합에 봉사하도록 기능하는 질서이다.

사태의 자연스러운 경로는 그러하다. 그러나 정치적 통합의 과정을 보다 느리고 보다 비효율적이고 보다 짜증나게 만드는 작동기제들은 무수하다. 일상의 부단한 협력과 사회적 통합의 거대한 작동과정을 보지 못하게 만드는 색안경들의 종류는 여럿이다. 그리고 각각의 색안경들, 이즘들, 주의들, 론들, 감상법들은 나름대로 자극적이고 재미있기도 하거니와 또 부분적으로는 그럴 듯 하기도 하기 때문에 아직도 만병통치약은 시중에서 잘 팔려 나간다. 성적인 변태와는 별도로 정치적인 변태들도 허다하다. 변태들이 쓰는 신문이 불티나게 팔릴 정도다.

정치담론의 문제는 딴 다리를 긁어야 말발이 선다는 데 있다. 정치얘기만 나오면 현실과는 무관하게, 마치 딴 나라에서 사는 것처럼, 인구에 회자되는 조어들과 관념들, 이미지들과 연상들을 통채로 습득해야만 옆에서 한 마디 거들 수 있다. 무협소설에는 내공과 외공, 경공술과 검장지법에 관한 고도의 학술적 체계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소설이라는 것을 독자가 알고 있다. 그런데 삼국지에 빠져 비몽사몽지간에 놓이면 적벽대전이 꿈인지 생시인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정치권을 바라보고 조선일보를 읽다보면 그것이 생시라고 확신하게 된다. 요컨데 민주주의 정치란 중원무림의 대권투쟁을 감상하는 대권삼국지 감상법에 따라 독자들이 느낌과 말로 동조하는 양방향 게임이라는 것이다. 정치가와 시민을 매개하는 언론은 이 양방향 게임의 향방을 조정하는 역사의 지휘자이다.

정치담론에서 현실감각의 상실, 관념과 이미지의 오염은 심각하다. 신념에 가득 찬 고매하고 냉철한 사상가들은 한 꾸러미의 집합명사들을 논리적 체계 안에 가둔다. 그러나 그 집합명사는 자유로운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고, 집합명사 안에 들어있는 등장인물들은 사실상 도처로 이동하고 있다. 사회적 문제는 유클리트 기하학처럼 깔끔한 논리적 추론으로 풀리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 설득과 창의적인 분발을 통해 해결된다. 우리는 단지 종합적 추세를 분석 진단하고 개연성이 큰 예측을 얻고 그에 대해 가치판단을 한 뒤에 노력하고 인내하며 통합의 장기적 과정에 참여할 뿐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러한 인간적 과정을 이야기할 언어가 없다는 것이다.

주의자들은 책에서 얻은 판을 펼쳐놓고 그 안에서 이야기한다. 애독자들은 언론에서 읽은 기자들의 인상비평에 따라 판을 펼쳐놓고 그 안에서 이야기한다. 일단 판이 펼쳐지면, 그 판에 들어맞지 않는 사실증거들은 철저히 무시된다. 마침내 사실은 제쳐놓고 판들이 나와서 자기네끼리 싸움을 한다. 사람들은 그런 것을 정치담론이라고 부른다.

19세기 좌우의 학술적인 장르문학들, 20세기 삼국지의 대중적인 장르문학들이 시민사회의 대중문화를 장악할 때 애독자들의 감상소감 나누기를 우리는 정치담론이라고 부른다. 그러한 정치담론의 한 가지 중요한 효과는 그것이 우리의 정서와 심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그 영향력이 현실의 정치과정 안으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사실을 확인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밉고 화나는 경우도 많은 법이다.

원래는 판을 짜놓고 이야기할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면서 그 안에서 현실로부터 판을 짜 나가야 한다. 그것은 반칙이 아니라, 원칙이다.

Posted by taichiren
,